티스토리 뷰
목차
무려 73%가 이 혜택을 몰라서 놓친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서울에 사는 여성이라면 누릴 수 있는
다양한 건강 지원 제도가 있지만
정말 많은 분들이 정보를 몰라 그냥 지나치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솔직히 저도 그랬어요.
막연하게 '나한테는 해당 안 될 거야' 생각만 하다가
직접 찾아보니까 생각보다 신청도 쉽고
지원 대상도 넓어서 진심으로 놀랐거든요.
2025년 서울시 여성건강지원금은 임신, 출산, 난임, 난자동결 등
여성의 생애주기에 맞춰 정말 촘촘하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임신·출산 준비부터 출산 후까지, 서울시 지원금 총정리
서울시는 임신을 준비하는 단계부터 출산 후까지
다양한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특별한 지원 사업들을 운영하고 있어요.
✅ 임산부 교통비 지원: 임산부 1인당 70만 원
✅ 서울형 산후조리경비 지원: 출생아 1인당 100만 원 상당 바우처
✅ 35세 이상 임산부 의료비 지원: 임신 회당 최대 50만 원
✅ 1인 자영업자 등 출산급여: 90만 원 추가 지원
이 중에서 가장 유용하다고 느꼈던 건
단연 임산부 교통비 지원이었어요.
임신 3개월(12주차)부터 출산 후 3개월까지 신청할 수 있는데,
임산부 본인 명의의 신용카드에
70만 원의 교통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버스, 지하철, 택시는 물론
주유비까지 사용할 수 있어서
정말 완전 꿀팁이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신청은 온라인 '서울맘케어시스템' 또는
관할 동주민센터에서 하면 됩니다.
난임 부부 및 난자동결, 서울시만의 특별 지원
난임으로 힘들어하는 부부들을 위해
서울시가 정말 세심한 지원을 하고 있더군요.
국가 난임 지원을 다 받은 후에도
서울시의 추가 지원을 받을 수 있다는 사실이
가장 큰 장점입니다.
✅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 국가 지원횟수 소진 시 서울시 자체 지원(출산당 25회)
✅ 한의약 난임치료 지원: 3개월 한의약 첩약비 90% 지원
✅ 난자동결 시술비 지원: 20~49세 여성, 최대 200만 원
✅ 난임시술 중단 의료비 지원: 의학적 사유로 인한 시술 중단 시
난소 기능이 저하되었거나
미래의 임신을 계획하는 여성분들이라면
난자동결 시술비 지원에 주목해보세요.
서울시에 6개월 이상 거주한 20~49세 여성을 대상으로
사전 검사비와 시술비의 50%, 최대 200만 원을 지원합니다.
또한 한의약 난임 치료를 원하는 분들을 위한
지원 사업도 운영 중입니다.
최대 120만 원 상당의 첩약비를 지원받을 수 있으니
한 번쯤 알아보는 것을 추천해요!
그 외 놓치면 아쉬운 서울시 여성 지원금
서울시의 여성 건강 지원은 단순히 의료비에만 국한되지 않습니다.
여성의 경제 활동과 정신 건강까지 아우르는
폭넓은 지원을 하고 있거든요.
취업을 준비하는 경력 단절 여성이라면
서울우먼업 구직지원금을 꼭 신청하세요!
월 30만 원씩 최대 3개월, 총 90만 원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미취업 30~49세 여성(중위소득 150% 이하)이 대상이에요.
이외에도 서울시는 청년들의 심리 상담을 지원하는
청년 마음건강 지원사업도 운영하고 있습니다.
만 19~39세 서울 거주 청년이라면
최대 6회기 상담을 지원받을 수 있으니
정말 괜찮은 기회라고 생각합니다.
오늘은 서울시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여성건강지원금에 대해 정리해 드렸습니다.
이 모든 정보는 '서울시 임신·출산 정보센터'나
'서울우먼업' 홈페이지에서 더 자세히 확인할 수 있어요.
우리가 몰랐던 숨겨진 혜택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서
더욱 건강하고 활기찬 삶을 살아갈 수 있기를 바랍니다.
혹시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