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보통 회사 다니면 "연봉 얼마 받는다"라고들 합니다. 하지만 실수령액은 연봉에서 필수적으로 제외해야 하는 항목들 때문에 많이 줄어듭니다.
연봉에서 소득세, 지방소득세,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을 제외한 금액이 실수령액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2025년 연봉 실수령액
부양가족 1인 기준으로 작성한 연봉 실수령액 표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실수령액은 부양가족 수, 세금에 따라 차이가 나므로 아래 계산기를 사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연봉 | 세전 월급 | 세후 월급 (실수령액) |
3,000만 원 | 250만 원 | 225만 원 |
3,500만 원 | 292만 원 | 260만 원 |
4,000만 원 | 333만 원 | 294만 원 |
4,500만 원 | 375만 원 | 327만 원 |
5,000만 원 | 416만 원 | 358만 원 |
6,000만 원 | 500만 원 | 421만 원 |
7,000만 원 | 583만 원 | 484만 원 |
1억 원 | 833만 원 | 657만 원 |
연봉이 1억 원이라도 실제로 한 달 실수령액은 657만 원 정도입니다. 생각보다 세금으로 많은 돈이 나가는 것 같습니다.
공제항목 및 계산방법
앞서 알려드린 연봉에서 공제되는 주요 항목들이 어떻게 계산되어서 월급에서 빠져나가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항목 | 계산방법 |
국민연금 | 월 소득의 4.5% |
건강보험 | 월 소득의 3.545% |
고용보험 | 월 소득의 0.9% |
소득세 | 소득구간에 따른 누진세율 (아래표 참조) |
지방소득세 | 소득세의 10% |
구간별 소득세율 누진공제액
과세표준 | 세율 | 누진공제 |
1,400만원 이하 | 6% | - |
11,400만원 초과 5,000만원 이하 | 15% | 1,260,000원 |
5,000만원 초과 8,800만원 이하 | 24% | 5,760,000원 |
8,800만원 초과 1억 5,000만원 이하 | 35% | 15,440,000원 |
1억 5,000만원 초과 3억원 이하 | 38% | 19,940,000원 |
3억원 초과 5억원 이하 | 40% | 25,940,000원 |
5억원 초과 10억원 이하 | 42% | 35,940,000원 |
10억원 초과 | 45% | 65,940,000원 |
비과세액
근로소득 중 비과세 혜택이 주어지는 소득이 있습니다. 비과세 소득은 소득세를 내지 않고 4대 보험도 반영되지 않는 소득입니다.
비과세 항목 | 세부내용 |
근로자 본인의 학자금 | 학교와 근로자 직업능력개발법에 의한 직업능력 훈련시설의 수업료 등의 학자금 ※ 소득세가 비과세되는 수업료 등은 교육비 세액공제 대상에서 제외 |
육아휴직 급여 등 | 고용보험의 실업급여, 육야휴직 급여, 공무원의 육아휴직 수당, 제대군인의 전직지원금 |
위자 성질의 급여 | 근로자가 부상·질병 ·사망과 관련, 그 유가족이 지급받는 유족보상금과는 별도로 사용자로부터 지급받는 위자 성질이 있는 급여 |
건강보험 등 사용자 부담분 | 국민건강보험법 ·고용보험법 ·노인장기요양보험법에 따랄 사용자가 부담하는 부담금 |
식사, 식사대 | 근로자가 받는 월 20만 원 이하의 식사대 |
자녀보육 수당 | 근로자 또는 배우자의 출산이나 6세 이하 자녀의 보육과 관련하여 사용자로부터 받는 급여로서 월 10만 원 이내의 금액 |
근로 장학금 | 장학금 중 대학생이 근로를 대가로 지급받는 장학금 |
직무발병보상금 | 발명진흥법에 따른 직무발명으로 받은 연 500만 원 이하의 금액 |
연봉계산기
계산기를 이용하면 실수령액을 쉽게 계산할 수 있으며, 연봉협상 및 이직 등의 계획을 세우는데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 계산기 중 더 맘에 드시는 것으로 사용하시면 됩니다.